Grammar
-
의문사Grammar 2014. 4. 13. 13:02
의문사: 문장에서 물어보는 기능 뿐만 아니라 품사로써의 역할 (명사, 형용사, 부사)명사로써의 기능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what do you eat? 너는 무엇을 먹니? '~을, ~를' 이라는 조사가 붙어 목적어 역할 형용사로써의 기능: 명사 수식 What book do you read? 무슨 책을 너는 읽니? what이 book이라는 명사를 꾸며 의문사 한덩어리가 됨 부사로써의 기능 where are you going? 너 어디에 가니? 부사는 붙여도 때도 됨, where가 어디라는 뜻을 가지고 부사 역할을 함의문사의 종류 의문 대명사 : 의문사 + 대명사 역할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 who- 누구, what- 무엇, which- 어느 것, 어떤것 이름, 고약이, 책한권 (이런 명사자리..
-
수동태 만들기Grammar 2014. 4. 8. 02:09
~하게되다, 당했다는 의미만으로 수동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능동태를 수동태로 만들때 확인할 점은능동태= 수동태의 동사시제를 일치시켜야 하며S+V+O 일때 수동태 이후 문장에서 O는 없어져야 한다. (by 이하로 능동태 주어 위치) *Spanish is spoken in Mexico. (스페인어는 멕시코에서 사용된다)*Bananas are grown in tropical countries. (바나나는 열대 나라에서 자란다.) 수동태의 의문문과 부정문....... Who invented the first computer? 누가 컴퓨터를 처음으로 만들었나? 여기에서 who가 주어입니다. 평서문: Who invented the first computer?수동태: The first computer was inv..
-
should ...해야 한다. ....~하는 것이 좋겠다 (제안)Grammar 2014. 4. 6. 23:06
should ~ 해야한다, ~하는 것이 좋겠다. (권유)should not 동원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어떤 일을 하거나, 하지 않는것이 좋겠다고 제안할 때 should를 쓴다. We should have a party. It'll be fun. 파티를 하는 것이 좋겠어(권유). That milk smells bad. You shouldn't drink it. 마시지 않는 것이 좋겠어요. Samantha has a toothache. Again? She should see a dentist. 의사선생님을 보는것이 좋겠어요 You shouldn't sit on that bench. It's dirty. 앉지 않는것이 좋겠어. 더러워 Should I~? 하는것이 좋을까요? (의견을 구하기 위해서) I ..
-
must -임에 틀림없다. 강한 확신을 지닌 추측 (90%) vs have toGrammar 2014. 4. 6. 20:41
어떤 일을 '근거를 기반으로' 강하게 확신할 때 must를 쓴다. Must: -임에 틀림없다Must not: -이지 않음에 틀림없다. Jay and Peter are always together. They must be close friends. a.Tim's room is always dirty. He must not clean it often. 자주 청소하지 않음에 틀림없다. You must feel so excited! must는 과거형이 없다! must+ V : 반드시 ~해야한다. (강한 의미의 의무!) Travelers must show their passports before they get on the plane. The bill is due on Friday. I must pay it by..
-
might 막연하고 추측성이 강함 (will도 be going to에 비하면 추측인데 이건 더 강함)Grammar 2014. 4. 6. 19:46
may와 might은 시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casual과 polite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막연하고 추측성이 강함 will< might 이 더 추측성이 강함will은 의지는 있지만. 가지 않을 수도 있음might은 나도 모름 I have a lot of work to do. I might not finish it all today. 나는 오늘 다 끝내지 않을지도 모른다. 아무도 모름, 일지도... 아닐지도...
-
can과 couldn't 평서문일때만 ~할 수있다의 뜻을 지닌다.Grammar 2014. 4. 6. 19:31
조동사인 can은 -할수있다. 와 ~해주시겠어요? 의 의미를 지닌다. 오직 평서문일때만 할수있다의 뜻을 가지며 두가지의 의미가 할수 있다와 할 수 있었다로 구분되어진다. 허락을 구하는 can/ could I? ==할수있나요? 가 아니라 '해도 될까요?' 라는 묻는 표현 ex) Can you sign this form, please? can은 casual/ could 는 for polite questionsCan I use your phone?Can you come to the party? 파티에 와 주시겠어요? 요청, 부탁을 하는 can/could ~해주시겠어요?I'm sorry. Could you say that again? Can I come in?Can I take this seat?Can I ha..
-
미래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3가지Grammar 2014. 4. 6. 13:42
미래를 뜻하는 문법은 3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의미는 서로 조금씩 다르다. Will+ V : 막연하고, 계획없이 결정한것 ※Will은 미래의 사실이나 미래에 '당연히'(기정사실)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 말할 때 쓴다. 그냥 그러겠지.. 라는 늬앙스 --오늘다음은 내일, 올해 지나면 내년이 오는것 Sharon will be 18 years old next year. I will be 20 years old next year. Will it snow tomorrow? Maybe. I'm worried about the test on Monday. Don't worry. You'll do fine. (당연히 그럴꺼야, 으레 잘할꺼야) 즉흥적으로 지금 어떤 일을 하기로 결정한 경우 be going t..